본문 바로가기
국내 여행/나홀로 추천 코스

[충남 논산시][나홀로 추천 코스] 계백장군에서 왕건까지, 백제부터 고려의 시간을 만나다

by 어느 개발자의 블로그 2023. 8. 9.
728x170

계백장군에서 왕건까지, 백제부터 고려의 시간을 만나다

나지막한 논산의 들녘을 따라 백제에서 고려에 이르는 역사의 현장들이 자리 잡고 있다. 신라와의 황산벌 전투에서 장렬히 전사한 계백의 무덤과 고려의 태조 왕건이 삼국을 통일한 것을 기리기 위해 세운 개태사, 고려시대 은진미륵불이 서 있는 관촉사를 돌아본다. 흥선 대원군의 서원철폐에도 살아남은 47개 서원 중 하나인 돈암서원과 탑정저수지도 의미 있는 탐방지다.
※ 소개 정보
- 코스 총거리 : 24.3KM
- 코스 일정 : 기타
- 코스 총 소요시간 : 6시간
- 코스 테마 : ----지자체-----


 




관촉사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004

- 홈페이지 : http://gwanchoksa.modoo.at/
관촉사는 논산8경 중에서도 제1경으로 꼽히는 명승지다. 관촉사에는 독특한 볼거리가 많은데, 그중 으뜸은 ‘은진미륵’이라 불리는 석조미륵보살입상(보물)이다. 높이 18m의 석불이 온화하고 자비로운 얼굴을 하고 있다 하여 ‘백제의 미소’로 표현되곤 한다. 은진미륵 앞에 선 석등과 오층석탑, 석문 등도 눈여겨볼 것. 불경을 넣어둔 윤장대의 축을 잡고 돌리면 경전을 읽는 것과 같다고 한다. 관촉사 앞마당에 서면 풍요로운 논산평야가 한눈에 들어온다.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007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030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070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081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092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106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125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004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006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009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016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021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026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036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051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062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072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082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098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102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115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117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118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138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139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142

충청남도_논산시_관촉사_144





탑정저수지

탑정저수지

- 홈페이지 : https://www.nonsan.go.kr/tour
탑정저수지는 겨울철에도 잘 얼지 않는 자연조건은 물론, 주변에 논산평야 등 대규모 농경지가 위치해 있어 풍부한 먹이로 철새들의 충분한 서식조건을 지니고 있으며, 최근 겨울철새들의 새로운 월동지로 부각되고 있다. 탑정저수지에는 10월말에서 3월초까지 대략 100여종의 철새들이 날아들어, 개체수에 있어 철새들의 대규모 월동지로 알려진 금강하구, 서산A.B지구 보다, 월등히 다양한 종류의 철새들이 월동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 겨울철새들의 새로운 월동지로 부각되어 탑정저수지에 월동하고 있는 철새는 천연기념물 큰고니, 천연기념 원앙, 국제보호조인 가창오리, 고방오리,알락오리,쇠오리등 4만여마리가 월동.철새들의 낙원으로 잔잔한 호수에 철새들의 노래소리가 끊이질 않는다.

탑정저수지

탑정저수지

탑정저수지

탑정저수지

탑정저수지





논산 돈암서원

충청남도_논산시_돈암서원_016

- 홈페이지 : http://www.donamseowon.co.kr
http://www.nonsan.go.kr/tour/
http://www.cha.go.kr
* 김장생을 제향한 서원, 돈암서원

돈암서원은 조선 인조 12년(1634) 이곳에서 1.5km 떨어진 숲말에 세워졌었다. 현종 원년(1660)에 사액서원이 되었으나 지대가 낮아 홍수 때에는 물이 뜰까지 넘쳐들어 오므로, 고종 17년(1880) 현재의 자리인 임리 74번지(서원말)로 옮겨지었다. 고종 3년(1865) 서원철폐령에서도 제외된 서원이었다. 소슬 3문으로 꾸며진 입덕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양성당 좌측에 응도당 그리고 사우는 양성당 후면에 있고, 장판각, 정회당, 산앙루가 있다. 유림들이 매년 음력 2월과 8월 중정에 제사를 올리고 있다. 사우의 전면은 1칸통을 개방하여 전퇴를 두었고, 내부는 우물마루를 깔았으며 전퇴는 전돌 바닥이다. 전면 기둥사이에는 사분합 띠살문을 달고 옆면과 뒷면은 회벽이다. 공포의 구성은 이익공외출목과 동일한 수법으로 짜여져 있다. 내부의 양봉은 전통적인 모습을 유지하고 있고, 창방 위에 설치된 화반형의 초각반은 기둥 사이마다 1개씩이다. 지붕가구는 퇴고주를 세워 퇴량과 대들보를 걸었는데 용재는 새우처럼 휘어진 것을 썼다. 대들보 위에 일종의 포대공을 얹어서 퇴고주와 함께 종량을 받쳤으며 다시 종량위에 파연대공을 두고 종도리를 받쳤다. 사우에는 김장생을 주향으로 하여 김집 송준길 송시열선생 등 문묘에 배향된 네 분만을 모시고 있는 보기드문 선정 서원이다. 돈암서원비문에 의하면 방, 대청, 툇마루, 행랑을 갖춘 응도당이 있었고, 응도당의 왼쪽에 거경제 오른쪽에 정의재가 있었으나 현재로서는 그 건물이 어느 것인지를 분간하기도 어렵고 원형대로 보존되어 오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 돈암서원의 의의와 평가

광산김씨는 연산 지역에서 세거하면서 많은 인재를 배출한 호서 명문 사족가문이다. 이런 이유로 돈암서원은 서인-노론계를 대표하는 서원으로 1871년 서원 훼철령 때에도 훼철되지 않고 보존되어 오늘에까지 이르고 있으며, 특히 김장생이 타계한 후 제자와 문인들이 만든 돈암서원책판(遯巖書院冊版)이 등 여러 자료가 남아 있다.이렇듯 돈암서원은 호서 지역은 물론 기호 지역 전체에서 존숭받는 서원으로, 김장생을 제향한 서원 중에서 가장 비중 있고 영향력 있는 서원으로 인정받고 있다. 현재까지 잘 보호, 관리되고 있으며 지역사를 연구하는 향토 자료로서도 보존적 가치가 높다. 나아가 호서 지역 사림의 동향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되며, 당시 실질적인 세력권자인 김장생의 영향력을 알 수 있다.

* 소유 - 광산김씨 종중

충남_논산_논산 돈암서원에서 화(和), 미(美), 예(禮)를 다시 보다_03

충남_논산_논산 돈암서원에서 화(和), 미(美), 예(禮)를 다시 보다_04

충남_논산_논산 돈암서원에서 화(和), 미(美), 예(禮)를 다시 보다_06

충남_논산_논산 돈암서원에서 화(和), 미(美), 예(禮)를 다시 보다_07

충남_논산_논산 돈암서원에서 화(和), 미(美), 예(禮)를 다시 보다_08

충남_논산_논산 돈암서원에서 화(和), 미(美), 예(禮)를 다시 보다_05

충남_논산_논산 돈암서원에서 화(和), 미(美), 예(禮)를 다시 보다_10





계백장군유적지

충청남도_논산시_계백장군 유적지_060

- 홈페이지 : 논산 문화관광 http://www.nonsan.go.kr/tour/
백제 말기 성충(成忠)·흥수(興首)와 더불어 백제 3충신으로 꼽히는 계백의 유허지로 최후의 결전장이던 황산벌과 가까운 곳에 있다. 1966년 묘를 발견할 당시, 봉분이 반 이상 붕괴되어 내광이 노출되었으며 광벽까지 일부 파손된 채 방치되어 있었는데 부적면 사람들이 지석(支石)을 안치하고 내광회벽을 완봉한 후 봉분 둘레 47.6m, 지름 15.15m, 높이 6.5m로 복묘하였다. 1976년 5월 19일에는 봉토를 만들고 비석을 세웠다. 비석에는"전 백제계백장군지묘(傳百濟階伯將軍之墓)"라고 씌어 있다.

* 백제의 마지막 장수, 계백 장군 *
계백(階伯 ;?~660)은 백제의 장군이다. 554년 성왕(聖王)이 관산성(管山城)에서 전사한 뒤 백제와 신라의 관계는 매우 악화되었다. 641년 의자왕(義慈王)의 즉위이래 백제는 고구려와 제휴하면서 신라를 자주 공격했다. 그러나 고립된 신라가 당나라와 협력하여 고구려와 백제 두 나라를 노리면서 상황은 크게 변했다. 더욱이 의자왕의 실정으로 국내가 혼란해지고, 고구려가 연개소문의 정변 등 국내 문제로 백제와의 동맹에 소극적으로 되자 백제의 위기는 점차 현실화되었다. 결국 660년(의자왕 20) 소정방(蘇定方)과 김유신(金庾信)의 나당연합군이 백제의 요충지인 탄현(炭峴)과 백강(白江)으로 쳐들어왔다. 이에 의자왕은 계백에게 5,000명의 결사대를 주어 이를 막게 했다. 계백은 죽기를 각오하고 출전하여 1당100의 열세에도 불구하고 4번을 싸워 이겼으나 백제군은 결국 중과부적으로 대패하여 계백이 전사했다. 이 황산벌전투로 백제는 비운의 종말을 맞이했으며, 계백장군은 통한을 품고 이곳에 묻혀 있다.
충청남도_논산시_계백장군 유적지_017

충청남도_논산시_계백장군 유적지_026

충청남도_논산시_계백장군 유적지_047

충청남도_논산시_계백장군 유적지_073

황산루

황산루

계백장군묘

충장사

한국문화정보원_계백장군 유적지 1

충청남도_논산시_계백장군 유적지_003

충청남도_논산시_계백장군 유적지_006

충청남도_논산시_계백장군 유적지_015

충청남도_논산시_계백장군 유적지_054

충청남도_논산시_계백장군 유적지_055

충청남도_논산시_계백장군 유적지_057

충청남도_논산시_계백장군 유적지_062

충청남도_논산시_계백장군 유적지_063

충청남도_논산시_계백장군 유적지_065

충청남도_논산시_계백장군 유적지_077

황산루

황산루

황산루

계백장군묘

계백장군묘

계백장군묘

계백장군묘

계백장군묘

충장사

충남_논산_계백장군묘01

충남_논산_계백장군묘04

충남_논산_계백장군묘04

한국문화정보원_계백장군 유적지 4

한국문화정보원_계백장군 유적지 2

한국문화정보원_계백장군 유적지 3

한국문화정보원_계백장군 유적지 7

한국문화정보원_계백장군 유적지 5

한국문화정보원_계백장군 유적지 10

한국문화정보원_계백장군 유적지 14

한국문화정보원_계백장군 유적지 11

한국문화정보원_계백장군 유적지 12

한국문화정보원_계백장군 유적지 15





개태사

충청남도_논산시_개태사_007

- 홈페이지 : https://www.nonsan.go.kr/tour
충남 논산시 연산면(連山面) 천호리(天護里) 천호산에 있는 사찰로 고려 태조가 후백제의 신검(神劍)을 무찌르고 삼국을 통일한 것을 기려 황산을 천호산이라 개칭하고 창건하였다. 고려 태조 19년(936)에 창건된 사찰로 그 내역은《고려사》와《여지도서》에 기록되어 있다. 그 기록에 의하면 개태사는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한 후 후백제를 평정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약 4년간에 걸쳐 축조했다. 그래서 태조의 영정을 모시는 진전(眞殿)이 있었으며, 국가에 변고가 있을 때에는 이곳에서 신탁(神託)을 받는 등 왕실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유지되어 왔다. 그러나 고려 말기에 이르러 사운은 쇠퇴하기 시작한 것으로 전한다. 즉 고려 말기 잦은 왜구의 침입에 의해 잦은 방화와 약탈을 당하게 되어 조선시대에는 계속 폐사된 채 방치되어 왔는데 1934년에 이르러 오늘날의 사찰이 재건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조선조시대에는 퇴락하여 폐사로 있던 것을 1930년 김광영(金光榮)이 새로 짓고 도광사(道光寺)로 이름을 고쳤다가 다시 태광사(泰光寺)라고 하였다. 중요문화재로는 보물인 사지석불입상(寺址石佛立像), 충남민속자료인 개태사철확(鐵鑊), 충남문화재 자료인 5층석탑과 석조(石槽)가 있다.예전에 이 절에서 쓰던 철확, 즉 큰 가마솥은 승려들의 식사를 위해 국을 끓이던 것으로 지름 3m, 높이 1m, 둘레 9.4m이다.

* 개태사지 석조삼존불입상 (보물 제219호) *

개태사 석조삼존불입상은 경내(境內) 북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쪽을 주시하고 있다. 본존불은 높이 4.15m 크기로 복연(伏蓮:아래로 향한 연꽃) 의 방형 기단상에 안치되어 있는데, 중앙부에 만들어진 방형의 불대(佛臺) 후면에 2개의 구멍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본래는 광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불상의 형태는 크게 돌출된 육계에 둥그런 얼굴을 지니고 있으며, 이마에 백호가 선명하고 이목구비의 형태가 뚜렷하나 얼굴의 규모에 비해 크게 과장된 형상이다. 불상의 규모에 비해 크게 과장된 듯한 양손은 오른손을 들어 가슴에 붙이고, 왼손은 배에 대어 무엇을 잡은 것처럼 만들었는데, 이로 미루어 본존은 아미타불로 추정된다. 좌우의 협시보살은 각각 시무외인, 여원인을 나타내고 있는데, 오른손과 왼손의 위치가 다르게 있다는 특징을 보인다. 보살상은 각각 지름 2m 내외의 팔각형 연꽃 대좌에 올려져 있으며, 높이는 3.12m 내외이다. 새로이 만들어진 얼굴은 육계가 크며, 본존불보다 더욱 치졸하다. 머리띠 장식은 귀 뒤로 어깨까지 내려져 있으며, 양팔에는 팔찌를 돌리고 있다. 법의는 우견편단으로 양팔에서 좌·우로 늘어져 있고, 배에서 무릎까지 한줄의 매듭장식이 드리워져 있다.

[문화재현황
개태사지석불입상(보물)
개태사지철확(충남 민속자료)
개태사지 5층석탑(문화재자료)
연산화악리의 오골계(천연기념물)

충청남도_논산시_개태사_010

충청남도_논산시_개태사_011

충청남도_논산시_개태사_019

충청남도_논산시_개태사_024

충청남도_논산시_개태사_028

충청남도_논산시_개태사_039

충청남도_논산시_개태사_044

충청남도_논산시_개태사_056

충청남도_논산시_개태사_062

충청남도_논산시_개태사_001

충청남도_논산시_개태사_006

충청남도_논산시_개태사_016

충청남도_논산시_개태사_023

충청남도_논산시_개태사_026

충청남도_논산시_개태사_031

충청남도_논산시_개태사_040

충청남도_논산시_개태사_051

개태사5층석탑

개태사5층석탑

개태사5층석탑





점심식사(계모의 행복한 밥상, 연산 할머니 순대 연풍식당)

충남_논산_연산오계 11

- 홈페이지 : https://www.nonsan.go.kr/tour/html/sub04/0401.html?mode=V&mng_no=608
- 전화번호 : 041-735-0707
오계 요리는 크게 탕과 백숙, 두 종류가 있다. 탕은 닭이 뚝배기에 국물과 함께 담겨 나오고 백숙은 고기를 먹기 편하게 발라 먹으며 국물은 따로 먹게 된다. 몸이 안 좋을 때나 허할 때 보신용으로 오골계를 먹으려면 탕이 제격이고, 별미로 즐기거나 반주를 곁들이고 싶으실 땐 백숙이 좋다. 탕에는 황기탕 정식과 삼계탕이 있다. 황기탕 정식은 오골계 요리와 반계탕, 죽으로 구성되어 있고 삼계탕에는 작은 닭(500g~600g) 한 마리 또는 큰 닭(1kg 이상) 반 마리와 영양찰밥이 나온다. 삼이 안 맞는 분이나 몸에 열이 많은 분은 수삼 대신 사삼 (더덕)을 넣어 준다. 백숙에는 1년 이하의 햇닭으로 요리하는 햇 백숙과 3년 이상 묵은 닭으로 하는 묵은 백숙이 있다. 오계는 묵을수록 약효가 좋다 하여 예로부터 오계를 약에 쓰려면 오래오래 묵혀서 썼다. 묵은 닭백숙은 국물이 아주 진하며 몸이 허할 때 먹으면 금방 피가 도는 느낌이 들 정도로 효과가 좋다. 메뉴는 황기보탕, 만삼탕, 면화자탕 등이 있다.
충남_논산_계모의행복한밥상01

충남_논산_계모의행복한밥상02

충남_논산_계모의행복한밥상03

충남_논산_계모의행복한밥상04

충남_논산_계모의행복한밥상05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