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동구146

광주 동구 - 푸른길분수공원 푸른길분수공원 푸른길 분수공원은 과거 광주에서 순천을 거쳐 부산으로 가던 경전선 철길이었다. 남도의 발이 되어 주었던 고마운 기찻길이었으나 도심 한복판을 지나다 보니 교통체증과 소음이 심각했다. 결국 경전선이 시외로 옮겨가면서 옛 철길은 환경운동가와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나서 우리나라 최초의 폐선부지 공원으로 재탄생했다. 광주 시민들의 휴식처로 거듭난 공원에는 굴다리 옛터를 알리는 표지석을 비롯해 오랜 세월 제 자리를 지킨 초록빛 아름드리나무들이 기찻길이 품은 정다운 추억을 되살리게 한다. 공원 한쪽에는 건축가 승효상의 작품 '푸른길의 문화쉼터'도 자리한다. 녹슨 기찻길을 떠올리게 하는 내후성 강판으로 제작된 이 작품은 광주의 옛 모습을 담은 전시공간이자 쉼터로 사용된다.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 2022. 12. 21.
광주 동구 - 오지호생가 오지호생가 오지호 생가는 지방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서양화가의 대가 오지호선생이 조선대 교수로 재직하던 1954년 이후 1982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약 30년간 살던 집으로 100년전 건물을 1986년에 전체적으로 보수하였다. 건물은 안채와 문간채로 안채는 우진각 지붕의 초가인데, 정면 4칸, 측면 2칸의 전, 후 퇴집이다. 전면은 1칸, 반의 부엌과 1칸의 방이 셋이며, 후면에는 툇마루와 골방이 있고, 부엌에는 살창과 천장을 복원했으며, 판장으로 된 부엌문을 옛 것 그대로 달았다. 문간채는 오지호 선생의 화시로 여섯평 정통 유럽양식의 집이다.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지호로 81-20 (지산동)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061-379-3917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2년'작.. 2022. 12. 21.
광주 동구 - 너릿재공원 너릿재공원 전남 내륙 한가운데에 위치한 화순은 조광조가 그의 이상을 펼치지 못하고 유배되어 죽음에 이른 곳이며 방랑시인 김삿갓은 중국적벽에 못지않게 아름다운 화순적벽의 절경에 반해 그곳에서 죽음을 맞기도 했다.너릿재공원은 화순과 광주의 경계인 너릿재터널 입구 도로변 바로 옆에 있는 공원으로 휴일이면 광주, 화순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들러 휴식을 취하는 곳이다. 한편 공원에는 6.25전란으로 인해 아까운 젊음을 불사른 순국 선열들의 얼을 기리는 무명용사묘와 순국 경찰묘지가 자리하고 있어 숙연한 자세로 옷깃을 여미게 한다. * 무명용사묘 1951년 4월 2일 대구에서 출발하여 4월 5일 이양에 도착 주둔중 6일 새벽1시경 폭풍우속에 적의 기습을 받고 2시간여 혈전속에 공비는 격퇴하였으나 26명이 산화하였다... 2022. 12. 21.
광주 동구 - 증심사 계곡 안산암질용암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증심사 계곡 안산암질용암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 홈페이지 : http://geopark.gwangju.go.kr 증심사 계곡에서 발견되는 화성암은 안산암질 응회암 및 안산암과 이를 관입한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백색의 옥수(Chalcedony) 또는 녹색의 녹니석(Chlorite)이 타원형 모양의 행인으로 안산암에 나타난다. 이 지역의 화성암 형성은 화산 폭발에 의해 화성쇄설물이 쌓여 만들어진 응회암과 액상으로 분출된 용암이 굳어서 형성된 안산암 생성이 여러 차례 반복된 후 미문상화강암이 관입한 것으로 해석된다.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71 (운림동) ※ 소개 정보 - 문의 및 안내 062-613-7853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2년'작성하여 공공누리 .. 2022. 12. 21.
대구 동구 - 내곡 모감주나무군락 내곡 모감주나무군락 - 홈페이지 : 대구 동구청 http://www.dong.daegu.kr/main/main.htm 모감주나무는 중국·대만·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황해도와 강원도 이남에서 자라고 있다. 여름에 노란 꽃이 피고 열매는 콩알보다 약간 큰데 열매가 둥글고 검으며 윤기가 있어 염주를 만드는데 쓰인다. 스님들은 이 열매로 염주를 만들기 때문에 염주나무 또는 보리수라 부른다. 내곡 모감주나무군락은 1990년 5월 15일 대구광역시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다른 지역의 모감주나무보다 둘레나 나이면에서 훨씬 크고 오래되었으며 나무의 보호측면이나 희귀수종보호 및 생물학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내곡동 221, 산91 ※ 소개 정보 - 체험가능 연령 :.. 2022. 12. 21.
대구 동구 - 대구 구 동촌역사 대구 구 동촌역사동촌역은 1917년 11월1일 보통역으로 영업개시하여, 1928년7월1일 국철로 편입되어 1938년 대구-영천간 광궤선으로 개량되었다. 현재 대구선에는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역사로는 반야월역, 동촌역, 금호역이 있지만 그 중에서 동촌역이 원래의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으며 지붕형태의 디자인도 탁월하다. 특히, 철로변에서 보이는 박공지붕과 조정실의 작은 박공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 대합실의 천장은 ‘ㅅ’형태로 마감되어 있으며 창호, 목구조 등은 원형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어 1930년대 가장 잘 남아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간이역으로 건축사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현재는 '동촌역사 작은도서관'으로 이용되고 있다. -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역사로3길 35 (입석동) ※ 소개 정보 .. 2022. 12.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