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여행/가족 추천 코스

[경북 성주군][가족 추천 코스] 성주의 자연과 어우러진 역사여행

by 어느 개발자의 블로그 2023. 11. 2.
728x170

성주의 자연과 어우러진 역사여행

성주의 가야산을 중심으로 낮은 산들이 분지를 이룬 이 고장은 조용하고 한가로운 마을이다. 이곳 역시 고령과 마찬가지로 가야의 문화가 성했던 곳으로 그들의 문화 고분이 많이 잠들어 있다. 무엇보다 한개마을의 잘 보존된 한옥 집성촌에 들면 마치 과거로 돌아간 듯한 느낌이 들만큼 잘 보존되어 있다. 가야산의 야생화를 볼 기회도 놓치지 말자.
※ 소개 정보
- 코스 총거리 : 66.29km
- 코스 일정 : 기타
- 코스 총 소요시간 : 1일
- 코스 테마 : ----지자체-----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

경상북도_성주군_세종대왕 왕자 태실_003 - 홈페이지 : 성주 문화관광 http://www.sj.go.kr/tour
경북나드리 http://tour.gb.go.kr/main.do
문화재청 http://www.cha.go.kr
조선조 세종대왕 왕자들의 태실로서 전열은 11기, 후열은 8기로 되어있다. 태실 앞에는 각각 왕자의 태실비가 세워져 있는데, 대부분 세종 20년(1438)에서부터 세종 24년 사이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에는 비석이 닳아 판독하기 어려운 것들이 많으며, 판독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은 평원대군, 영응대군, 의창군 등의 태실비이다. 그러나 1977년 12월, 이곳을 보수, 정비하면서 금성대군, 화의군, 단종 등의 태실로 추정되는 자리에서 토기, 태호, 분청인화문 대접, 분청상감 연화문 뚜껑 1식과, 명기가 있는 지석2점 등이 출토되어 현재 국립대구박물관, 경주박물관, 경북대학교 박물관 등에 보관되어 있다. 한편 가까이엔 이곳 태실을 수호하는 사찰이었던 선석사가 있다.

* 태실과 지석의 구조에 대하여 *
태실은 왕실에서 자손을 출산하면 그 태를 봉안하는 곳을 말한다. 예로부터 태는 태아의 생명력을 부여한 것이라고 인정하여 태아가 출산된 뒤에도 함부로 버리지 않고 소중하게 다루었다. 민간에서는 땅에 묻는 경우도 있었으나 많은 경우 출산 후 마당을 깨끗이 한 뒤 왕겨에 태를 묻어 몽긋몽긋하에 태운 뒤에 재를 강물에 띄워 보내는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그러나 왕족의 경우에는 국운과 직접 관련이 있다고 여겨 태를 항아리에 담아 전국의 명당에 안치시키는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이때 이를 주관하는 관상감에서 길지로 선정된 명산에 일정한 의식과 절차를 밟아 묻었는데, 이 의식과 절차를 거쳐 완성한 시설을 태실이라 불렀다. 또한 태봉은 태실 가운데 그 태의 주인이 왕으로 즉위할 경우에 격에 맞는 석물을 갖추고 가봉비를 세운 것으로 임금의 태실을 말한다. 19기의 태실은 화강암으로 깎은 조선태실 의궤(儀軌) 형식으로 지하에 석실을 만들고 그 안에 백자로 된 태호(胎壺)를 넣는 형태이다. 태호 속에는 태항(胎缸)과 태주(胎主)의 이름 및 생년월일을 음각한 지석(誌石)을 두었다. 지상에는 기단, 간석, 옥개의 형식을 갖춘 석조물을 안치하는 한편 각 왕자의 태실을 가리키는 표석을 세웠다. 태실의 옥개 높이는 25㎝, 지름 1.6m, 둘레 3.2m이며 신석은 높이 60㎝, 지름 1.2m, 둘레 2.4m이다. 기단은 높이 45㎝, 지름 2.2m, 둘레 8.8m이고 태비의 높이는 90㎝, 너비는 35㎝이다.

* 태실 수호사찰 선석사 *
- 신라 효소왕 1년(692) 의상대사에 의해 창건
- 조선초기 세종대왕 수호사찰
- 소장 문화재 : 성주선석사영산회괘불탱(보물) / 선석사대웅전(경상북도 문화재자료)
- 태장전 : 현대인의 아기 태를 봉안하는 시설이 있으며, 태 봉안인의 무병/장수를 기도하는 도량

[문화재 정보]
* 조성연대 : 1438년(세종 20)~1442(세종 24)
* 재질 : 화강암
* 크기 : 면적 5,950㎡
* 태실수 : 19기
- 세종대왕의 적서 18왕자 중 장자 문종을 제외한 17왕자 태실 18기
- 세종대왕의 손자 단종이 태어났을 떄 조성한 태실 1기
※ 단종의 태실은 세자로 책봉된 후 성주 법림산에 새롭게 이전 조성함

* 문화재적 가치
- 태실이 군집을 이룬 전국 최대의 태실 문화유산
- 조선초기 태실문화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최선의 문화유산
- 태실 조성방식의 시대적 변천을 확인 할 수 있는 최고의 문화유산
경상북도_성주군_세종대왕 왕자 태실_047
경상북도_성주군_세종대왕 왕자 태실_036
경상북도_성주군_세종대왕 왕자 태실_034
경상북도_성주군_세종대왕 왕자 태실_015
경상북도_성주군_세종대왕 왕자 태실_008
한국문화정보원_세종대왕자태실 10
한국문화정보원_세종대왕자태실 7
한국문화정보원_세종대왕자태실 3
한국문화정보원_세종대왕자태실 1
경상북도_성주군_세종대왕 왕자 태실_050
경상북도_성주군_세종대왕 왕자 태실_032
경상북도_성주군_세종대왕 왕자 태실_030
경상북도_성주군_세종대왕 왕자 태실_024
경상북도_성주군_세종대왕 왕자 태실_021
경상북도_성주군_세종대왕 왕자 태실_017
경상북도_성주군_세종대왕 왕자 태실_016
경상북도_성주군_세종대왕 왕자 태실_004
한국문화정보원_세종대왕자태실 9
한국문화정보원_세종대왕자태실 8
한국문화정보원_세종대왕자태실 6
한국문화정보원_세종대왕자태실 5
한국문화정보원_세종대왕자태실 4
한국문화정보원_세종대왕자태실 2




성주 한개마을

경상북도_성주군_성주 한개마을_038 - 홈페이지 : http://www.cha.go.kr
https://sj.go.kr/tour
* 한옥 보존 마을과 돌담길, 성주 한개마을 *

성주 한개마을은 성산이씨가 대대로 살아온 전형적인 동성촌락이다. 조선세종 때 진주목사를 지낸 이우가 처음 이 곳에 이주하여 마을을 만들었다. 현재는 월봉 이정현의 후손들이 집성촌을 이루어 살고 있으며, 한옥 보존 마을이다. 마을 북쪽으로는 영취산(331.7m)이 좌청룡 우백호로 뻗어 있고, 서남쪽으로 백천이 흐르고 있어 영남 제일의 길지를 이루고 있다. 또한 구한말 성리학자 이진상을 비롯, 응와 이원조 등 예로부터 이름난 선비를 많이 배출한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마을 내의 주택들은 문화재자료 제354호 ‘극와고택’ 등 지방지정문화재 9동을 중심으로 전통한옥 구조가 잘 남아 있다.

* 한개마을의 볼거리, 외곽담과 내곽담 *

한 개마을에는 특이한 담장이 있어 색다른 볼거리를 제공한다. 담장은 크게 외곽담과 내곽담으로 나눌 수 있다. 외곽담은 마을의 가옥이 대체로 경사지에 위치한 관계로 산지에 접한 담과 주택동 쪽의 측면담은 높은 반면 앞뒤 주택의 영역을 구획하는 담은 낮게 되어 있다. 내곽담은 주거건물의 처마보다 낮아 담 양측의 영역을 시각적으로 차단 또는 연속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이 마을 담장의 주류인 토석담은 전통 한옥들과 잘 어우러져 자연스런 마을의 동선을 유도하면서 아름다운 마을 속에 잘 동화되어 있다.

한국문화정보원_한개마을 15
한국문화정보원_한개마을 12
한국문화정보원_한개마을 14
한국문화정보원_한개마을 9
한국문화정보원_한개마을 8
한국문화정보원_한개마을 2
한국문화정보원_한개마을 4
한국문화정보원_한개마을 3
한국문화정보원_한개마을 6
한국문화정보원_한개마을 13
한국문화정보원_한개마을 11
한국문화정보원_한개마을 7
한국문화정보원_한개마을 10
한국문화정보원_한개마을 5




가야산 야생화식물원

경상북도_성주군_가야산 야생화식물원_086 - 홈페이지 : http://sj.go.kr/gayasan/
2006년 6월 16일 개관한 국내 최초 야생화 전문 식물원이다. 총 400여 종의 수목과 야생화를 식재하여 야생화 자원보전과 자연학습과 학술연구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야생화 문화공간이다. 식물원은 종합전시관과 지상 1층, 지하 1층으로 된 유리온실을 갖추고 있다. 소나무 외 92종의 교목, 산철쭉 외 54종의 관목, 할미꽃 외 257종의 야생화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성주의 열두 달간의 풍경, 열두 달 식물 이야기 등 여러 가지 볼거리를 설치해 다양한 정보와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경북_성주_별별 야생화 천국, 성주 가야산야생화식물원과 성밖숲_02
경북_성주_별별 야생화 천국, 성주 가야산야생화식물원과 성밖숲_03
경북_성주_별별 야생화 천국, 성주 가야산야생화식물원과 성밖숲_04
경북_성주_별별 야생화 천국, 성주 가야산야생화식물원과 성밖숲_05
경북_성주_별별 야생화 천국, 성주 가야산야생화식물원과 성밖숲_07




성주 성산동 고분군

경상북도_성주군_성산동 고분군_032 - 홈페이지 : http://www.cha.go.kr
* 성산가야 지배층의 고분군, 성산동 고분군 *
성산동 고분군은 성주읍의 남동쪽 성산에 입지한 가야시대 고분군으로 성주일대를 거점으로 하였던 성산가야 지배층의 고분군으로 알려져 있다. 고분군은 성산의 능선을 따라 크고 작은 봉토분들이 밀집하여 분포하고 있는데, 대부분 원형으로 현재까지 129기가 확인되어 정비 및 복원을 하고 있다. 1호분은 구덩계앞트기식돌방무덤[竪穴系橫口式石室墳], 2호분은 2개이 딸린덧널[副槨]이 있는 구덩식돌방무덤, 6호분은 구덩식돌방무덤이며, 성산동대분은 으뜸(서)-딸린(동)덧널식무덤이며, 8호분은 경주지역에서 보이는 굴식돌방무덤이다.껴묻거리[副葬品]로는 1호분에서 토기류, 철부, 은제관장식, 금제귀걸이, 은제대구, 고리긴칼[環頭大刀]이, 2호분에서는 토기류와 관못, 손칼,창, 철부, 철제은장고리가, 6호분에서는 소량의 토기 철기류가 출토되었는데 토기류 중 굽다리접시[高杯]는 엇갈린 2단 투창(透窓)이 뚫린 것이다. 성산동대분에서는 300여 점에 달하는 토기류가 출토되었다. 38 ·39 ·57 ·58 ·59호분은 모두 할석(割石) 혹은 판석(板石)으로 된 구덩식돌방무덤이다. 38 ·39 ·59호분에서는 2인 이상을 매장한 다장묘(多葬墓)로 순장의 흔적을 보여준다. 이들 5기의 고분에서는 토기류, 말갖춤류[馬具類], 꾸미개류[裝身具類] 등 900여 점에 이르는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 성산고분에서 나온 유물에 대하여 *
성산고분은 일제강점기에 일부가 발굴 조사된 바 있으며, 1986년 계명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대형 봉토분 5기가 발굴 조사되었다. 이 조사를 통하여 대호를 비롯한 유개장경호, 단경호, 유개고배 등 토기류 및 은제행엽, 재갈, 교구 등의 마구류를 비롯한 다량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성산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은 인접한 고령지역 등 다른 낙동강 이서지역과 달리 낙동강 이동양식으로 불리우는 유물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대구 화원지역의 유물군과 양식적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유구의 구조와 유물구성 등은 성주지역을 거점으로 하였던 고대 정치체의 일면모를 알 수 있게 한다.

[문화재 정보]
시대 : 가야
규모 : 129기
종류 : 고분군

성주 성산동 고분군(3)
성주 성산동 고분군(1)
성주 성산동 고분군(2)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3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